코워킹 스페이스, 어디가 좋을까?
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, 소셜벤처는 항상 ‘업무공간이 부족하다’라고 애기합니다. 그러나 이 말은 실제 스타트업이 사용할 수 있는 업무공간 자체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저렴한 임대료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없다는 것입니다. 이런 예비창업자나 스타트업의 요구에 맞춰 탄생한 시설이 바로 ‘코워킹 스페이스’입니다.
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근무환경의 질은 높이고 생산성은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타트업 맞춤형 최적화 사무공간, ‘코워킹 스페이스’에 대한 정보를 지난 1편에 이어 2편에서 계속 소개해 드립니다.
코워킹 스페이스, 어디가 좋을까?
• 1편 – 공공이 운영하는 코워킹 스페이스
1. 사회적기업 성장지원센터 (소셜캠퍼스 온)
2.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
3. 서울혁신파크
4. 서울창업허브
5. 서울먹거리창업센터
• 2편 – 민간이 운영하는 코워킹 스페이스
6. MARU180 (마루180)
7. D.CAMP (디캠프)
8. HEYGROUND (헤이그라운드)
9. 서울창업디딤터
■ 소재지 : 서울시 강남구 역삼로 180(역삼동, 790-6)
■ 특징
• ‘아산나눔재단’에서 설립 및 운영하는 창업지원센터
• 예비창업가, 스타트업, 벤처캐피털, 엑셀러레이터 등 창업생태계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이용 가능
• 약 2,000억원 규모의 ‘정주영 엔젤투자기금’이 직·간접적으로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음
• 지하 1층 ~ 지상 5층으로 구성 (약 1,100평 규모)
- 1층 / 카페형 코워킹 스페이스 ‘마이크임팩트스튜디오’
매월 소액(약 1만원)의 멤버십 비용만 내면 누구나 이용 가능 (최대 100명 한정 멤버십 운영)
카페와 개방형 코워킹 스페이스의 장점이 융합된 공간
- 지하 1층 / 이벤트홀
창업 관련 행사에 한해 무료 대관, 약 150명을 수용 가능
- 2층 ~ 5층 / 독립형 사무공간
스타트업 및 파트너사(엑셀러레이터, 투자사)가 함께 입주해 있음
3~4개의 스타트업이 한 층을 사용
• 입주 모집 및 절차
- MARU180 홈페이지(http://maru180.com)를 통해 모집 일정 및 공고 게시
- 신규 입주는 매년 상반기(5월), 하반기(11월) 2회 공개 모집
- 모집대상는 법인 설립 5년 이내, 최소 3인 이상 최대 16인 이하 기업 (단, 사행·유흥업종 5개 제외)
- 입주 절차 : 모집공고 → 입주지원서 제출 → 1차 서류심사 → 2차 발표심사 → 합격발표 → 선발기업 이사
• 입주기간 및 비용
- 입주 기간은 기본 6개월 / 6개월 단위 성과평가를 통해 최대 1년까지 입주 기간 연장 가능
- 비용은 1인 기준 월 10만원 / 팀원 수 증가에 따른 할인은 별도 적용
• 창업 관련 전문가가 멘토링을 제공 ‘멘토링랩’ 운영, 분야별 전문가가 1:1 멘토링 및 코칭 제공
• 스마트폰, 스마트워치, 태블릿PC 등이 비치된 ‘디바이스랩’ 운영, ‘마이크임팩트스튜디오’에서 사용 신청
• 입주사 간 네트워킹 파티 주기적 개최
- ‘타운홀 미팅’, ‘층별 친목 모임’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, 매월 입주사들이 모여 다양한 상호교류 시행
- 일반 코워킹스페이스와는 달리 입주사 간 활발한 협업활동이 진행되는 것이 매력
■ 상세정보 확인
• MARU180 / http://maru180.com / 02-3453-1370
■ 소재지 : 총 2개 센터 운영 (선릉센터/개포센터)
• 디캠프 선릉센터 :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551 새롬빌딩 2~6층
• 디캠프 개표센터 : 서울시 강남구 개포로 416 개포디지털혁신파크 마루관 2~4층
■ 특징
• ‘은행권청년창업재단’이 설립 및 운영하는 창업지원센터
- 국내 최초 민간 창업지원을 위한 코워킹스페이스 공간
• 코워킹스페이스, 멘토링, 교육 프로그램, 네트워킹 이벤트, 투자 등 다양한 지원 제공
- 성장 단계별 창업지원 프로그램으로 유명
- 디캠프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스타트업 성장 프로그램 ‘게임 오브 디캠프_GoD(Game of D.CAMP)’
- 스타트업 정보공유 프로그램(디톡스_D.TALKS), 스타트업 네트워킹 행사(디파티_D.PARTY),
예비 및 초기 창업자를 위한 창업캠프(디시즌D.CISION) 등 다양한 창업지원 프로그램 제공
• 입주 모집 및 절차 : 3가지 방법으로 입주 가능
1) 매월 진행되는 ‘디데이(D.DAY)’ 발표팀에 선정되어 입주
- ‘디데이(D.DAY)’를 통과한 팀들에겐 5층 보육 공간의 사무실을 1년간 무료 지원
2) 연간 두 번 진행되는 배치 프로그램 ‘게임 오브 디캠프(Game of D.CAMP)’를 통한 입주
- ‘GoD’는 반년마다 스타트업을 선발해 4층 코워킹 공간을 6개월간 무료 제공
- 전문가 멘토링, 네트워킹, 교육, 홍보 연계 등 다각도의 지원도 함께 제공
3) ‘디캠프 멤버십’ 가입을 통한 코워킹스페이스 사용
- 2층 유료 입주 공간, 1인용 공간과 사무실을 갖췄으며, 면적당 일정 사용료를 내면 입주 가능
■ 상세정보 확인
• D.CAMP / https://dcamp.kr / 02-2030-9300
■ 소재지 : 서울시 성동구 뚝섬로1나길 5(성수동1가 22-8, 헤이그라운드)
■ 특징
• 비영리 사단법인 ‘루트임팩트’가 운영하는 코워킹스페이스
• 루트임팩트 설립자 정경선 前 대표가 전반적인 사항에 관여
• 지상 8층 ~ 지하 2층 건물 (빌딩 전체 사용 / 약 6,000㎡(1,800평)
- 소형 독립오피스 (6~7층)
소규모팀과 개인을 위한 공간 / 디자이너, 개발자, 변호사 등 전문직 프리랜서도 사용 가능
프리이빗 오피스(3/4/6인 단위), 셀형 지정좌석(4/6/8인 단위), 오픈형 지정좌석(1인 단위)로 구성된 사무공간
회의실, 폰부스, OA기기, 작업공간, 여성 라운지, 촬영 스튜디오, 공유키친, 강연공간 등 각종 편의시설 구비
- 중·대형 독립오피스 (2~5층)
10인~100인까지 수용할 수 있는 프라이빗 오피스로 된 사무공간 / 주로 성장기 법인 대상
회의실, 폰부스, OA기기, 작업공간 등 편의시설 구비
‘아쇼카’, ‘에누마, ‘마리몬드’ 등 유명 사회적기업 입주
- 스카이라운지(8층), 안내데스크/헬스클럽/영춘커피(1층), 체이지메이커스(지하 1층) 등 각종 편의 공간 완비
• 입주 모집 및 절차
- 헤이그라운드 홈페이지(https://heyground.com)를 통해 입주정보 확인
- 다른 코워킹스페이스와 달리 가입절차에 ‘인터뷰’ 절차가 있음
• 입주기간 및 비용
- 입주 공간에 따른 비용 및 입주 조건, 절차, 서비스 등이 상이능
1) 프라이빗 오피스 : 36만원/월 (1년/2년)
2) 셀형 데스크 : 32만원/월/인 (3/6/12개월)
3) 오픈형 지정좌석 : 26만원/월/인 (3/6/12개월)
4) 핫 데스크 : 18만원/월/인 (최소 1개월)
■ 상세정보 확인
• 헤이그라운드(HEYGROUND) / https://heyground.com
• 루트임팩트 / http://rootimpact.org / 02-6495-0180
※ 헤이그라운드의 입주 및 운영에 관한 문의사항은은 루트임팩트로 문의 요망
■ 소재지 : 서울시 노원구 동일로 174길 27 서울창업디딤터 (舊 아스피린센터)
■ 특징
• 서울시 동북부지역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 서울시가 세운 창업보육기관
• 창업 전문가 멘토링, 입주사 간 네트워킹 등 다양한 창업 육성 프로그램을 매월 운영
• 대학생 창업 동아리를 연계해 지원하는 것이 차별점
• 2015년부터 지금까지 80개의 창업 아이디어를 지원
• 센터지원실, 카페, 창업준비공간, 개방형 공간이 별도 마련되어 자유롭게 이용 가능
• 사회적기업 창업을 희망하거나 창업 1년 미만 창업자라면 누구나 사전 예약을 통해 1년간 무료 이용 가능
(단, 사전 상담을 통해 확인 요망)
• 2, 3층은 입주자(팀)들만의 공간, 독립 사무실 및 소규모 회의실 조성
• 입주 기간은 최대 2년, 창업자의 계약 만료 기간에 따라 수시로 입주사를 모집
• 관리비 1㎡당 1만원, 보증금은 관리비의 6개월치, 입주사는 24시간 센터 이용 가능
•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 운영
■ 상세정보 확인
• 서울창업디딤터 / http://didimteo.or.kr / 02-974-5900
기업 주관 사회적경제 지원 사업 2편 (0) | 2018.12.10 |
---|---|
기업 주관 사회적경제 지원사업 1편 (0) | 2018.12.03 |
협업 공간, 어디가 좋을까? (0) | 2018.11.19 |
2018년 중소기업 정책자금융자 (2) (0) | 2018.11.12 |
2018년 중소기업 정책자금융자 (1) (0) | 2018.11.05 |
댓글 영역